'OS'에 해당되는 글 54건

donaricano-btn

Basic command (기본명령어)


- 자세한 명령어 사용법을 알고 싶다면

- man [명령어] 


1. ls

1) ls -> 현재 디렉토리 파일목록

2) ls -a -> 현재 디렉토리의 목록(숨김 파일 포함)

3) ls -l -> 현재 디렉토리 목록을 자세히 보여줌

4) ls *.txt -> 현재 확장자가 txt인 목록을 보여준다

5) ls -l /etc/sysconfig/a* -> /etx/sysconfig 디렉토리에 있는 목록중 앞글자 a인 목록을 자세히 보여줌

2. cd

1) cd -> 현재 사용자 홈 디렉터리로 이동(root 면 /root로 이동)

2) cd ~fedora -> fedora 사용자의 홈 디렉터리로 이동

3) cd .. -> 바로 상위 디렉터리로 이동

3. pwd

1) pwd -> 현재 작업 중인 디렉토리 경로

4. rm

1) rm abc.txt -> 해당파일 삭제

2) rm -i abc.txt -> 삭제시 정말 삭제 할지 메시지가 나옴

3) rm -f abc.txt -> 삭제시 확인 안하고 바로 삭제

4) rm -r abc -> 해당 디렉토리를 삭제

5) rm -rf abc -> abc 디렉터리와 그아래 하위 디렉터리 강제 삭제

5. cp

1) cp abc.txt cba.xtx -> abc.txt를 cba.txt라는 이름으로 바꿔서 복사

2) cp -r abc cba -> 디렉터리 복사

6. touch

1) touch abc.txt -> 파일이 없으면 abc.txt라는 빈파일 생성, 있다면 최종 수정 시간을 변경

7. mv

1) mv abc.txt /etc/sysconfig/ -> abc.txt를 /etc/sysconfig/ 디렉토리로 이동

2) mv aaa bbb ccc ddd -> aaa, bb, ccc 파일을 /ddd 디렉토리로 이동

3) mv abc.txt www.txt -> abc.txt의 이름을 www.txt로 변경해서 이동

8. mkdir

1) mkdir abc -> 현재 디렉토리 아래에 /abc 라는 디렉토리 생성

2) mkdir -p /def/fgh -> /def/fgh 디렉토리를 생성하는데, 만약 /fgh의 부모 디렉터리인 /def 가 없으면 생성

9. rmdir

1) rmdir abc -> /abc 디렉토리 삭제

10. cat    

1) cat a.txt b.txt -> a.txt와 b.txt를 연결해서 파일의 내용을 보여준다

11. head, tail

1) head anaconda-ks.cfg -> 해당 파일의 앞 10행을 화면에 출력

2) head -3 anaconda-ks.cfg -> 앞의 3행만 출력

3) tail -5 anaconda-ks.cfg -> 마지막 5행만 화면에 출력

12. more

1) 텍스트 형식로 작성된 파일을 페이지 단위로 화면에 출력

- space: 다음페이지 B: 앞 페이지 Q: 종료

2) more anaconda-ks.cfg

3) more anaconda-ks.cfg -> 100행 부터 출력

13. less

1) more 보다 기능이 더 확장됨 , pageDown, pageUp을 사용 가능하다




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현재 디렉토리(.) vs 현재 디렉토리의 상위 디렉토리(..)  (0) 2016.09.25
[Linux] Hidden file(숨김파일)  (0) 2016.09.25
[Linux] vi command(vi 명령어)  (0) 2016.09.18
[Linux] swap file  (0) 2016.09.18
[Linux] RunLevel  (0) 2016.09.18
블로그 이미지

리딩리드

,
donaricano-btn

vi command


1. 명령모드에서 입력모드로 전환

i : 현재커서부터 위치입력

I : 현재커서 줄의 맨 앞에서 부터 입력(shift+I)

a : 현재 커서의 위치 다음칸부터 입력

A : 현재 커서 줄의 맨 마지막부터 입력(shift+a)

o : 현재 커서의 다음 줄에 입력

O : 현재 커서의 이전줄에 입력(shift+o)

s : 현재 커서 위치의 한글자를 지우고 입력

S : 현재 커서의 한 줄을 지우고 입력(shift+s)


2. 커서 이동

- 기본적으로 방향키와 pageUp, pageDown, Home, End 가 있다

숫자 G : 해당 숫자의 행으로 이동

숫자 ENTER : 해당 숫자의 행으로 이동


3. 명령 모드에서 삭제, 복사, 붙여넣기

x : 현재커서가 위치한 글자 삭제(del)

X : 현재 커서가 위치한 앞 글자 삭제

dd : 현재 커서의 행 삭제

숫자 dd :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의 행 삭제

yy : 현재 커서에 있는 행 복사

숫자 yy : 현재 커서부터 숫자만큼 행복사

p : 복사 내용 붙이기

P: 복사내용 현재 행 이전에 붙이기
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Hidden file(숨김파일)  (0) 2016.09.25
[Linux] Basic command (기본명령어)  (0) 2016.09.25
[Linux] swap file  (0) 2016.09.18
[Linux] RunLevel  (0) 2016.09.18
[Linux] 리눅스 시스템 재부팅  (0) 2016.09.04
블로그 이미지

리딩리드

,

[Linux] swap file

OS/Linux 2016. 9. 18. 15:56
donaricano-btn

swap file

특정 파일의 수정작업이 정상적으로 종료되지 않을시 발생


1. 만약 anaconda-ks.cfg를 수정 후 비정상적으로 종료한경우

- anaconda-ks.cfg 파일을 터미널에서 수정후 x 버튼으로 종료

- 다시 vi anaconda-ks.cfg입력

2. swp 파일 처리

- rm -f .anaconda-ks.cfg.swp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Basic command (기본명령어)  (0) 2016.09.25
[Linux] vi command(vi 명령어)  (0) 2016.09.18
[Linux] RunLevel  (0) 2016.09.18
[Linux] 리눅스 시스템 재부팅  (0) 2016.09.04
[Linux] 리눅스 시스템 종료 명령어  (0) 2016.09.04
블로그 이미지

리딩리드

,

[Linux] RunLevel

OS/Linux 2016. 9. 18. 15:38
donaricano-btn

RunLevel

- init 뒤에 붙은 숫자를 런레벨이라 부른다

 런레벨

 영문모드

설명 

비고 

PowerOff 

종료모드 

 

Rescue 

시스템복구모드 

단일사용자모드 

Multi-User 

 

사용하지않음 

Multi-User 

텍스트 모드의 다중사용자 

 

Multi-User 

 

사용하지않음 

Graphical 

그래픽 모드 다중사용자 

 

Reboot 

 

 


1. RunLevel 확인

- /lib/systemd/system

- ls -l runlevel?.target

2. 현재 시스템에 설정된 런레벨 확인

- /etc/systemd/system/default.target

- 그래픽모드(X윈도)로 설정되어 있다

3. Linked File

- 윈도우의 즐겨 찾기와 같은 개념

- runlevel?.target은 링크파일이다

- runlevel0.target은 실제로 poweroff.target을 가리킨다

4. 부팅 시 텍스트 모드로 부팅되도록 런레벨 변경

- ln -sf /lib/systemd/system/multi-user.target /etc/systemd/system/default.target

- ls -l /etc/systemd/system/default.target

- default.target이 가리키는 파일을 텍스트모르도 부팅되는 런레벨 3으로 변경


'OS > 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Linux] vi command(vi 명령어)  (0) 2016.09.18
[Linux] swap file  (0) 2016.09.18
[Linux] 리눅스 시스템 재부팅  (0) 2016.09.04
[Linux] 리눅스 시스템 종료 명령어  (0) 2016.09.04
[Linux] 보안 설정된 SELinux 기능 끄기  (0) 2016.08.30
블로그 이미지

리딩리드

,